맨위로가기

금릉군 (선거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금릉군 선거구는 1949년 김천읍이 김천시로 승격되면서 김천군 잔여 지역을 관할하기 위해 신설된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제2대 국회의원 선거를 시작으로 제5대 국회의원 선거까지 운영되었으며, 1963년 김천시·금릉군 선거구와 통합되면서 폐지되었다.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여영복, 김철안, 우돈규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김천시의 정치 - 김천시장 선거
    김천시장 선거는 경상북도 김천시의 시장을 선출하는 선거로, 1995년부터 2022년까지 총 8번 실시되었으며 박팔용, 박보생, 김충섭이 시장을 역임했다.
  • 김천시의 정치 - 김천시의 국회의원
    김천시의 국회의원은 김천시와 금릉군의 분리 및 통합 과정에서 다양한 정당과 인물들이 김천시를 대표하여 국회에서 활동한 기록으로, 지역 정치의 변화와 흐름을 보여주는 지표이다.
  • 1950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중구 갑 (서울)
    중구 갑 (서울)은 대한민국에서 1950년부터 1960년까지 존재했던 옛 국회의원 선거구로, 총 4번의 선거를 통해 원세훈, 윤치영, 주요한 등의 국회의원을 배출했으며, 주요한은 민주당 소속으로 연이어 당선되었다.
  • 1950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청주시 (선거구)
    1949년 청주부에서 개칭된 청주시를 기반으로 신설되어 1963년 청원군 사주면을 편입하며 확장되었으나, 1973년 청원군 선거구와 통합되어 청주시·청원군 선거구를 이루면서 폐지된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 경상북도의 폐지된 선거구 - 영천시 (선거구)
    영천시 선거구는 1995년 영천시와 영천군 통합 이후 15대부터 19대 총선까지 존재했던 국회의원 선거구로, 20대 총선을 앞두고 청도군 편입으로 영천시·청도군 선거구로 변경되어 폐지되었으며, 보수정당 소속 의원들이 주로 당선되었다.
  • 경상북도의 폐지된 선거구 - 상주군 을
    상주군 을은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위해 상주군 일부에 설치되었다가 1963년 상주군 갑 선거구와 통합되며 폐지된 선거구로, 전진한, 백남식, 김정근, 김기영 등이 국회의원을 역임하며 무소속 후보 강세 속 정치적 변화를 겪었다.
금릉군 (선거구)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선거구 정보
이름금릉군
의회국회
큰 지도경상북도
연도1950
폐지1963
유형국회
이전 선거구김천군 갑
김천군 을
이후 선거구김천시·금릉군
의원 수1인

2. 역사

1949년 8월, 김천군 김천읍이 김천시로 승격되면서 김천군 잔여 지역이 금릉군으로 개칭되었다. 이에 제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금릉군 전 지역을 관할하는 선거구가 신설되었다.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김천시 선거구와 통합, 김천시·금릉군 선거구가 되면서 폐지되었다.

3. 역대 국회의원


3. 1. 여영복

1950년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여영복 후보가 당선되었으나, 이후 자유당 김철안 후보에게 밀려 재선에 실패했다.

3. 2. 우돈규

1960년 무소속으로 당선되었으나, 민주당과의 관계에서 어려움을 겪었다.

4. 역대 선거 결과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무소속 여영복 후보가,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자유당 김철안 후보가,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무소속 우돈규 후보가 각각 당선되었다. 특히 3대, 4대 총선에서 자유당 후보가 연속 당선된 것은 이승만 정권의 영향력이 지역 사회에 강하게 작용했음을 보여준다.

4. 1. 제2대 국회의원 선거 (1950년)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여영복 후보가 당선되었다. 무소속 후보들이 난립한 가운데, 여영복 후보는 19.19%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그러나 보수적인 지역 정서와 자유당의 영향력 확대로 인해 이후 선거에서는 고전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여영복무소속9,90519.19
김철안대한부인회8,03115.56
문종두무소속7,73714.99
우돈규무소속7,49414.52
안충기대한노동총연맹5,74811.14
배섭민주국민당4,3408.41
정주영대한국민당3,2276.25
이규숙무소속2,6265.08
이언용대한독립촉성국민회1,8593.60
김광산호랑무소속6281.21
합계51,595100


4. 2. 제3대 국회의원 선거 (1954년)

1954년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경상북도 금릉군 지역구는 자유당 김철안 후보가 당선되었다. 이 선거는 이승만 정권의 독재화 경향 속에서 치러졌으며, 자유당 후보의 당선은 지역 사회에 대한 이승만 정권의 영향력을 보여주는 동시에, 지역 사회의 반발과 민주화 요구가 점차 거세지는 배경이 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김철안자유당20,07839.45
여영복무소속8,70517.10
우돈규무소속8,59316.88
이필영무소속7,89215.50
조봉래무소속3,6997.26
김순무소속1,1002.16
이현무소속8231.61
합계50,890100




4. 3. 제4대 국회의원 선거 (1958년)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북도 금릉군 선거구에서는 자유당 김철안 후보가 38.99%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민주당 우돈규 후보는 37.80%로 2위를 기록했고, 같은 당의 박용준 후보는 13.73%, 정주영 후보는 9.46%를 얻었다. 총 유효 투표수는 54,660표였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김철안자유당21,31238.99
우돈규민주당20,66337.80
박용준민주당7,51013.73
정주영민주당5,1759.46
합계54,660100


4. 4. 제5대 국회의원 선거 (1960년)

1960년 4.19 혁명 이후 치러진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무소속 우돈규 후보가 당선되었다. 이 선거는 민주당 후보들의 분열과 무소속 후보의 약진이 두드러졌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우돈규무소속12,63124.48
김동환민주당6,75913.10
이예화무소속4,6228.96
허곤민주당4,3858.50
여영복무소속4,0917.93
정주영민주당3,6437.06
깁병옥민주당2,6775.18
이삼달민주당2,6295.09
김승환무소속2,3894.63
김재곤무소속2,2464.35
여세기민주당1,9073.69
김철안자유당1,8853.65
김래천무소속1,7203.33
합계51,58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